페다고지와 엔드라고지 : 교육학에서의 두 가지 접근 방식의 차이점
1. 서(序)
교육학에는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다양한 이론과 방법들이 존재하며, 그 중에서도 페다고지(Pedagogy)와 엔드라고지(Andragogy)는 두 가지 주요한 접근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이 두 용어는 교육의 목적, 대상, 방법 등에서 차이가 있어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페다고지와 엔드라고지의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2. 페다고지(Pedagogy)
페다고지는 일반적으로 학령기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교육 방법론이다. 즉, 교수자가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고 학습자들은 이를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형태의 교육이다. 학습자들은 교수자의 지시에 따라 교재의 내용을 습득하고, 시험 등 평가를 거쳐 성적을 얻는 형식의 교육이다. 페다고지는 교수자의 교육 능력과 지식에 주목하며, 학생들을 교육의 대상으로 보고 교육 방법을 결정한다.
3. 엔드라고지(Andragogy)
반면에 엔드라고지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 방법론을 의미한다. 성인들은 아동 / 청소년에 비해 판단능력이 우수하며 독립적인 사고가 가능하고 경험이 풍부하다. 엔드라고지는 이러한 성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개념에 기반한다. 엔드라고지는 성인들의 활동과 참여를 중시하며, 자기주도적인 학습과 문제 해결 능력을 강조한다. 성인들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하고, 자기의 목표와 필요에 따라 학습 방향을 결정한다. 엔드라고지는 성인들이 더욱 흥미를 가지며,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하기 때문에 학습 동기부여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4. 페다고지와 엔드라고지의 비교
(1) 목적과 대상의 차이
페다고지와 엔드라고지의 가장 큰 차이점은 교육의 목적과 대상에 있다. 페다고지는 학습자를 지식과 정보의 수동적 수용자로 보며, 지식의 교육 / 습득과 그에 대한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반면에 엔드라고지는 성인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과 능동적인 참여를 통한 동기부여와 교육의 효과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경험과 문제 해결 능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목표와 필요에 따라 학습 방향을 결정한다.
정리하자면, 페다고지의 경우 교수자의 역할이 중시되며,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고 학생들이 이를 수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교수자가 교육의 주체가 되며, 학생들은 수동적인 역할을 한다. 그에 비해 엔드라고지는 성인들이 주체적으로 학습하며, 교수자가 그들의 학습을 도와주는 조력자 역할을 한다. 성인들은 자신의 경험과 문제 해결 능력을 바탕으로 학습하고, 교수자는 그들이 필요로 하는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도움을 준다.
(2) 교수법의 차이
페다고지와 엔드라고지의 차이점은 교수법에도 영향을 미친다. 페다고지는 지식과 정보의 전달에 중점을 두기 때문에, 강의와 교재를 통한 수업이 일반적이다. 교재를 통한 지식의 습득 이후 반복되는 문제풀이 등이 가장 평범한 예이다.
엔드라고지는 학습자의 활동과 참여를 중시하기 때문에, 그들이 직접 문제를 해결하고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수법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토론, 토의, 프로젝트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식이다.
5. 결(結)
페다고지와 엔드라고지는 서로 완전히 대립하는 개념은 아니다.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는 것은 페다고지에서도 중요시되는 요소이며, 성인들이 지식과 정보를 습득하는 것은 엔드라고지에서도 중요시되는 요소이다. 따라서, 교육 방법과 목적에 따라 적합한 개념을 선택하여 학습자의 학습 동기부여와 성취감을 높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페다고지와 엔드라고지는 교육의 목적과 대상에 따라 적합한 교육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개념으로, 교수자는 교육 대상의 연령과 학습력, 성취 등을 고려하여 교수 방법을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 역시 자신의 목표와 필요에 따라 학습 방향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하며, 교수자는 그들이 필요로 하는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고 도움을 주는 조력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1862년 임술농민봉기에 관하여 (0) | 2023.04.30 |
---|---|
1910년대와 1920년대의 일제 통치 방식 비교 (0) | 2023.04.29 |
광무개혁(1897~1904)의 내용과 한계에 관하여 (0) | 2023.04.28 |
등척성 운동, 등장성 운동, 등속성 운동의 특징과 장점, 단점 (0) | 2023.04.27 |
슈퍼(Super)의 진로발달이론에 관하여 (0) | 2023.04.26 |
댓글 영역